본문 바로가기

신문을 읽다가23

숲을 파괴하면 전염병이 창궐하는 이유 지난 50년간 야생동물의 개체수가 68%가 줄어들었다. 지난주 유엔 생물다양성 회의(COP15)가 열려, 삼림 벌목과 집약적 농업으로 인한 동물 다양성, 개체수 감소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좀 더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생물 다양성은 환경 문제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숲을 벌목하면 전염병이 창궐한다 환경 파괴는 곧 전염병을 불러온다. 이 연결고리는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말에서 그 시작을 찾을 수 있다. 이 병은 동물에서 시작되어 인간에게 전염된 질병인데, 이 인수공통전염병은 최근 출현한 질병의 60%를 차지한다. 에이즈나 코로나,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에볼라 등등이 모두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물론 병이 퍼질 때에는 인구증가, 인구이.. 2021. 10. 21.
코로나 인간실험 - 일부러 코로나를 감염시킨다고? 충격적이긴 하지만, 의료 기술이 발전하려면 인간 실험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어쩔 수 없이 멀쩡한 사람에게 코로나를 감염시키고 그 경과 추이를 지켜보며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환자 수가 몇백만 명이 넘게 발생하는데, 이미 걸린 환자들을 데리고 실험하지 않고 꼭 멀쩡한 사람에게 코로나 바이러스를 감염시켜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드는데, 과학자들은 어쩔 수 없이 그래야 한다고 대답한다. 실제로 이미 감염된 사람이 있는 환경은 지저분하고, 불확실하다. 질병이 어떤 경로로 들어오고, 어떻게 감염 경로가 설정되는지 알기 어렵다는 뜻이다. 코로나 뿐만 아니라 우리는(과학자들은) 이미 인간실험을 위해 4만명의 사람들에게 말라리아, 장티푸스, 뎅기열, 콜레라 등의 질병을 감염시켰다. 이런 걸 어떻게 생각해야 .. 2021. 10. 19.
멸종위기종에게 돌연변이가 많을까? 카카포 새의 진화 우리가 돌연변이를 생각할 때, 흔히 개체수가 적으면 돌연변이가 더 자주 일어날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지 않겠는가? 개체수가 적으면 근친교배가 불가피하고, 그러다보면 유전병이 쉽게 생길 테니 말이다. 하지만 뉴질랜드의 섬에 사는 멸종위기종 카카포라는 새를 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700년 전, 뉴질랜드에 마우리 원주민이 당도했을 때 처음으로 카카포를 발견했다고 한다. 날지도 못하면서 뚱뚱한 새. 원주민들이 잡아 보니 맛도 좋았고 잡기도 쉬웠다고 한다. 유럽인들이 뉴질랜드에 살고 나서부터는 그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뉴질랜드 본섬에 한 마리, 남쪽 스튜어트 섬에 50마리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고 한다. 다행스럽게도 여러 환경 보호단체의 노력으로 200마리까지 번식에 성공했다. 다행스러운 일이지.. 2021. 10. 19.
CJ가 연구하는 썩는 플라스틱 기술, PHA 요즘은 특히나 배달음식이나 포장된 음식이 많아서, 항상 먹고 난 후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들이 걱정거리다. 그런데 식품업계에서 먼저 나서 썩는 플라스틱을 연구하고 기술개발을 하니 그건 참 좋게 보인다. 지금까지 CJ가 문어발 대기업이라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환경을 위한 연구개발은 많이 할수록 좋으니, 이미지가 달라 보일 정도이다. 이 기술은 PHA라고 불리며, 친환경 소재로 만든다고 한다. 게다가 땅 속이나 바닷속에서 6개월 내지 4년 안에 모두 썩어 없어진다니, 정말 반가운 소식이다. 친환경 소재라고 불리는 이유 PHA는 미생물이 만들어낸다. 특정 미생물이 옥수수나 전분당 등을 먹고 세포 안에 고분자 물질을 만드는데, 사실 이 기술은 신기술이 아니라 백년 전에 이미 발견된 것이다. 1920년 프랑스의 .. 2021. 10. 17.
엔트로피로 설명하는 가이아 이론 - 복잡한 것은 곧 생명이다 오늘은 앉아서 잡지를 좀 읽고 있는데, 내용이 잘 읽히지 않아 쓰면서 정리를 좀 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를 찾을 수 있을까? 지구도 그 자체로 생명체인가? 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지구가 생명체라는 주장은 고대 신화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땅의 신 가이아, 제우스와 가이아의 딸이라는 대지의 신 레아, 우리나라의 천지신명 등이 그렇듯이 말이다. 하지만 신화에서뿐 아니라, 과학자들도 지구가 생명체라는 토론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제임스 러브록이 탄생시킨 '가이아 이론'이 그 예이다. 가이아 이론은 단순히 말해 지구도 하나의 생명체라는 주장이다. 가이아 이론을 잠시 읽어보니 정말 흥미롭다. 세포-생명체 관계를 생명체-지구 관계로 확대시킨 것이라는데... 생명체 안에 세포가.. 2021. 10. 15.
코로나 회복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인플레이션과 임금상승 코로나 판데믹에서 경제가 회복하면서, 사람들은 물가와 임금이 동시에 상승하는 충격을 경험하고 있다. 왜 일어났을까? 물가 상승의 원인은 알기 쉽다. 수요는 엄청나게 상승했는데 공급은 병목현상이 일어나며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에너지 가격이 치솟고 있다. 하지만 왜 임금이 상승했는지 추측하는 건 좀 더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고용률이 낮고, 사람들은 일자리가 있어도 쉽게 일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이 첫번째일 것이고, 국가가 가계 소득을 지원해준 것이 두번째 이유이다. 또한, 사람들이 전염병 덕분에 일보다는 가족과 여가를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을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추측했지만, 임금상승이 계속된다면 물가 상승이 지속될.. 2021.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