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환경1 자연환경과 지리적 특성에 따른 언어 1) 이누이트 족에 '눈'을 표현하는 말이 수십개가 된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 다만 이누이트 족의 언어는 '밟아서 회색이 된 눈'을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을 뿐이다. 2) 고산 지대에서는 방출음(공기를 가뒀다가 방출해서 내는 음)이 많이 쓰인다. - 기압이 낮으면 방출음을 내기 쉽기 때문이다. - 방출음을 가진 언어: 아르메니아어, 에티오피아 암하라어, 조지아어 3) 습기찬 지역에서는 모음에 억양과 성조가 강해진다. - 습기가 있으면 성대주름을 움직여 억양을 만들어 내기 쉽다. - 성조가 있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 파키스탄 펀자브어 4) 햇빛이 강한 지역에서는 파랑색과 초록색을 하나로 묶어 말하는 경향이 있다. - 자외선이 망막에 닿아 파랑과 초록을 구분하기 어렵게 말하기 .. 2021. 12.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