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스크리트어 불경

관세음보살 자비주: 산스크리트어 해석과 독음 Mantra of Avalokitesvara

by 멜리ㅤ 2025. 4. 24.
반응형

산스크리트어 독음 + 영어 해석 + 한글 해석

 

नमो रत्नत्रयाय।
Namo Ratna Trayāya.
남모 랏나 츠라야야.
Homage to the Three Jewels.
삼보(불·법·승)에 귀의합니다.


नमः आर्य ज्ञानसागर वैरोचन व्यूह राजाय।
Namah Ārya Jñāna Sāgara Vairocana Vyūhai Rājāya.
남마 아리야 자나사가라 바이로짜나 비우하라 짜야.
Homage to the noble ocean of wisdom, Vairocana, king of the great assembly.
거룩한 지혜의 바다, 위대한 비로자나불께 경배합니다.


तथागताय अर्हते सम्म्यक्सम्बुद्धाय।
Thathāgatāya Arahate Samyak Sambuddhaya.
닷다가타야 아라하떼 삼먁삼부다야.
To the Tathāgata, the worthy one, the perfectly awakened Buddha.
여래, 아라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부처님께.


नमो सर्व तथागतैभ्यः अर्हतैभ्यः।
Namo Sarva Tathāgatebyeh Arahatebyeh.
남모 사르와 닷타가테베 아라하테베.
Homage to all Tathāgatas and Arhats.
모든 여래와 아라한께 경배합니다.


सम्यक्सम्बुद्धैभ्यः नमो आर्य अवलोकितेश्वराय।
Samyak Sambuddhe Byeh Namo Ārya Avalokite.
삼먁삼부데 베 나모 아리야 아발로키떼.
Homage to the noble Avalokiteśvara among the perfectly awakened Buddhas.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부처님들 가운데 거룩한 관세음보살께 경배합니다.


स्वराय बोधिसत्त्वाय।
Svarāya Bodhisattvāya.
슈라야 보디사뜨바야.
To the heroic bodhisattva.
용맹한 보살께.


महासत्त्वाय महाकारुणिकाय।
Mahāsattvāya Mahākārunikāya.
마하사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To the great being, the great compassionate one.
위대한 존재, 위대한 자비의 화신께.


तद्यथा ॐ धर धर धिरि धिरि धुरु धुरु।
Tadyathā Om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타디야다 옴 다라다라 디리디리 두루두루.
Thus: Om, hold, hold! Steady, steady! Move, move!
그리하여: 옴, 붙잡아라, 붙잡아라! 흔들리지 마라! 움직여라, 움직여라!


इति वत्ते इति चले चले।
Iti Vatte Iti Chale Chale.
이띠 웨 이띠 챨레챨레.
So it is! Move forward, move forward!
그렇다! 나아가라, 나아가라!


फ्रचले फ्रचले।
Phrachale Phrachale.
뿌라 챨레 뿌라 챨레.
Advance, advance!
계속 나아가라, 계속 나아가라!


कुसुमे कुसुमे वरे इलि मिलि चितिज्वलम आपनाये स्वाहा।
Kusume Kusume Vare Ili Mili Citijvolam āpanāye Svāhā.
쿠스메 쿠스메 와레 일리 밀리 찌띠즈와람 아빠나예 소하.
Blossom, blossom, O noble one! Flame of consciousness, bring it forth! Svāhā!
꽃피워라, 꽃피워라, 오 고귀한 분이여! 의식의 불꽃을 드러내라! 스와하!

 

 

Mantra of Avalokitesvara, The Great Compassion Mantra (아발로키테슈바라, 관세음보살, 자비주)

 

산스크리트어 단어

 

1. "Namo Ratna Trayāya" (남모 랏나 츠라야야)

  • 의미: **삼보(三寶)**에 귀의합니다.
    • 불(佛): 부처님 (깨달은 존재)
    • 법(法): 부처님의 가르침 (진리)
    • 승(僧): 수행 공동체 (스승과 동료들)

상징:

  • 수행자의 길세 가지 보물의지하는 것으로 시작.
  • 내 힘만이 아니라, 불·법·승지혜와 보호 속에서 길을 걷는다는 선언.

2. "Vairocana Vyūhai Rājāya" (바이로짜나 비우하라 짜야)

  • Vairocana: 비로자나불, 광명으로 모든 세상을 비추는 부처님.
  • Vyūha: 대집회, 위대한 모임.
  • Rājā: , 지도자.

상징:

  • 우주적 깨달음의 중심비로자나불에게 경배.
  • 모든 부처님들의 모임을 이끄는 광명의 존재.
  • 우주적 시야, 광대한 깨달음을 의미.

3. "Tathāgatāya Arahate Samyak Sambuddhaya" (닷다가타야 아라하떼 삼먁삼부다야)

  • Tathāgata: 여래, 진리의 길을 걸어온 존재.
  • Arhat: 아라한, 번뇌를 끊고 해탈한 이.
  • Samyak Sambuddha: 완전하게 깨달은 부처님.

상징:

  • 이건 깨달음의 세 가지 측면을 강조해:
    • 여래의 길,
    • 해탈한 존재,
    • 완전한 깨달음.
  • 다양한 깨달음의 경지를 모두 존중하고 귀의하는 선언.

4. "Avalokiteśvara" (아발로키떼슈와라, 관세음보살)

  • Ava- lokita- īśvara: "세상의 소리를 관조하는 주인"
  • 관세음보살
    • 세상의 고통을 듣고,
    • 그 고통을 껴안아 구제하는 자비의 화신.

상징:

  • 자비와 알아차림의 상징.
  • **공(空)**을 체험하면서도 세상과 연결되어 돌아보는 힘.

5. "Mahāsattvāya Mahākārunikāya" (마하사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 Mahāsattva: 위대한 존재, 위대한 보살.
  • Mahākaruṇikā: 위대한 자비를 지닌 자.

상징:

  • 강력한 존재이면서도
  • 가장 부드러운 자비로 세상을 껴안는 존재.
  • **힘(Tejas)**과 **자비(Karuṇā)**의 완벽한 조화.

6. "Dhara Dhara Dhiri Dhiri Dhuru Dhuru" (다라다라 디리디리 두루두루)

  • Dhara: 지탱하라! 붙잡아라!
  • Dhiri, Dhuru: 흔들리지 말고 전진하라!

상징:

  • 에너지의 흐름고정시키고,
  • 중심을 잡고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상태.
  • 프라나(기), 의식하나로 모으는 주문.

7. "Kusume Kusume" (쿠스메 쿠스메)

  • Kusuma: , 개화.

상징:

  • 의식이 꽃피는 순간.
  • 깨달음이 피어나는 장면.
  • 에너지가 머무르지 않고, 피어나 확산되는 상태.

8. "Ili Mili Citijvolam āpanāye Svāhā" (일리 밀리 찌띠즈와람 아빠나예 스와하)

  • Ili Mili: 리듬과 에너지의 흐름.
  • Citi: 의식.
  • Jvala: 불꽃.
  • Āpanāya: 드러내다, 가져오다.
  • Svāhā: 마무리, 헌신의 완성.

상징:

  • 의식의 불꽃내면 깊숙이 불러오고,
  • 그것을 완전히 활성화하고 마무리짓는 행위.

비유와 상상: 진언이 흐르는 강

진언을 암송할 때,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우주적인 에너지가 흐르는 강에 들어서는 상상.

  • Namo Ratna Trayāya강의 발원지
    • 불·법·승, 깨달음의 샘물에서 시작.
  • Vairocana햇빛처럼 퍼지는 광명
    • 이 강을 비로자나불의 광명이 비춘다.
  • Avalokiteśvara물살을 부드럽게 타고 흐르는 자비
    • 세상의 고통을 감싸고 흐르는 강물.
  • Dhara Dhara Dhiri Dhiri흐름을 유지하라!
    • 강줄기흔들림 없이 흐르도록.
  • Kusume Kusume강변에 피어나는 꽃들
    • 깨달음이 곳곳에 꽃을 피우는 모습.
  • Citijvolam āpanāye Svāhā불꽃이 타오르며 강을 완성
    • 의식의 불꽃물과 불,
    • 자비와 지혜,
    • **형상과 공(空)**을 하나로 아우르며 마무리.

명상 가이드: 진언과 함께 흐르는 법

1. 시작 — 강에 들어서기

  • 눈을 감고,
  • **"Namo Ratna Trayāya"**를 조용히 속삭여.
  • 불·법·승이라는 깨달음의 발원지에 발을 담근다고 상상해.

2. 광명을 느끼기 — 비로자나불의 햇살

  • Vairocana Vyūha Rājāya를 암송하며,
  • 머리 위에서 부드럽게 퍼지는 빛줄기를 느껴봐.
  • 나의 몸, 마음, 생각그 빛에 정화되고 있다는 느낌.

3. 자비의 물살 타기 — 관세음보살의 흐름

  • Avalokiteśvara를 부르며,
  • 내 숨이 고요한 강물처럼 흐르고 있다는 걸 느껴.
  • 그 강이 내 안의 고통,
    세상의 고통부드럽게 감싸고 흐르는 모습을 그려봐.

4. 중심을 잡기 — Dhara Dhara Dhiri Dhiri

  • 숨을 깊게 들이쉬고,
  • 진언을 암송하면서 배꼽 아래 단전에 에너지가 모이는 느낌.
  •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만들어.

5. 개화와 불꽃 — Kusume Kusume Citijvolam

  • 깨달음의 꽃내 마음 속에서 피어나는 장면을 떠올려봐.
  • Citijvolam의식의 불꽃
    그 꽃을 밝히고,
    내 안에서 세상으로 퍼져 나가는 모습을 상상해.

6. 마무리 — Svāhā

  • Svāhā를 외치며,
  • 불꽃과 강물,
  • 자비와 지혜,
  • 내 마음과 세상하나로 융합되는 걸 느껴봐.

 

진언(다라니)은
우주적 에너지가 흐르는 강이자,
내면의 의식이 깨어나는 불꽃입니다.
암송하는 동안 그 흐름과 불꽃을 몸으로 느껴보세요.
그러면 그 소리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공(空)**과 자비,
지혜와 깨달음의 실체가 되어
당신 안에서 피어나고 흐르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